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방법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이 1월 27일부터 선착순 발급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보려 합니다. 1월 27일 기점으로 8만명에게 선착순 발급 될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오는 7월 전국으로 확대하게 된다고 하는데요. 모바일 운전면허증과 발급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모바일 운전면허증 제도란?
  •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방법

 

 

모바일 운전면허증 제도란?

 

모바일 운전면허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모바일 운전면허증은 말 그대로 휴대폰에 운전면허증을 발급받는 방법으로 실물 신분증이 없이도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통해 신원 인증을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다른 선진국 중에서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시도를 하게 됩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

 

 

말씀드린 바와 같이 2022년 1월 27일부터 선착순으로 8만명에게 먼저 모바일 운전면허증이 발급되게 됩니다. 오는 7월, 전국으로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확대 발급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실물 플라스틱 운전면허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 신분증 시대를 열게 된 첫 발판으로서의 의미가 매우 큽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 사용법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이 시범운영을 진행한지 이틀만에 무려 4000건 이상이 발급되었다고 합니다. 발급받을 수 있는 곳은 먼저 시범사업 대상지역으로 한정이 되어있습니다. 서울 서부면허 시험장과 8개의 경찰서(남대문, 마포, 서대문, 서부, 중부, 용산, 은평, 종로)와 대전면허시험장 및 6개 경찰서(중부, 동부, 서부, 대덕, 둔산, 유성)입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 시범운영

 

모바일 운전면허증에 대해 확인해보았으니, 발급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방법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을 받기 위해서는 1) IC 운전면허증으로 직접발급받는 방법과 2) 운전면허시험장에서 QR코드로 발급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두가지 방법 모두 발급방법이 유사하여, 발급방법을 함께 순서대로 알려드리고 중간에 1번방법과 2번방법 다른 부분은 분리하여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 예시 사진

 

 

 

Step1. 먼저 본인명의의 휴대폰을 사용해서 모바일 신분증 앱을 설치합니다.

구글플레이의 경우 안드로이드인 삼성, LG 등의 휴대폰을 사용하시는 경우에 앱을 다운로드 받는 사이트이고, 앱스토어는 애플제품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앱을 다운로드 받는 사이트입니다.

 

모바일 신분증 앱(구글플레이)

 

모바일 신분증 앱(앱스토어)

 

따라서 본인의 휴대폰 기종에 맞춰서 구글플레이 혹은 앱스토어에서 모바일 신분증 앱을 다운로드 받아주시면 됩니다.

모바일 신분증 다운로드

 

 

 

Step2. 이부분은 IC운전면허증과 운전면허시험장 두가지로 나뉩니다.

 

1. 운전면허시험장에서 QR코드로 발급받는 경우

운전면허시험장에 방문해서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신청합니다. 발급신청서 제출과 본인확인이 이뤄지는데요. 운전면허증 창구 모니터에 있는 QR코드를 모바일 신분증 앱을 통해 촬영해서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2. IC운전면허증으로 발급받는 경우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를 통해서 IC 운전면허증을 신청합니다.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

 

IC운전면허증을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한 후, 지정한 운전면허 시험장이나 경찰서를 방문해서 IC 운전면허증을 수령한 후, 해당 IC 운전면허증을 모바일 신분증 앱을 통해 스마트폰에 인식을 해줍니다.

 

 

 

Step 3 모바일 신분증 앱 내 안면인식 및 본인확인

모바일 신분증 앱을 통해 Step 2에서 한 것처럼 IC 운전면허증이나 QR코드 운전면허증을 인식해주면, 안면인식 및 본인확인을 하게 됩니다.

 

모바일 신분증 발급방법

 

 

이렇게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이 완료되게 됩니다. 아직 시범운영일 뿐이지만, 빠르게 전국에 시행되면 많은 분들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는 일단 시범 운영 이후 전국에서 시행될 때 사용해볼까하는데요. 시범운영에 참여하고 싶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댓글